목록전체 글 (142)
섭이의 범죄심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범인을 상을 추적하는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러 되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프로파일링은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사건 해결을 지원하는 수사 기법의 한 종류입니다. 범죄자의 유형을 분석하는 일은 물론이고 그들의 행동과 진술분석, 심리 면담, 사건 관련자들의 진술 신빙성 평가 등을 수행해 수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줍니다. 간단히 말해서 과학적 방법을 통해 범죄 분석 보고서와 전문가의 조언을 제공하는 강력 사건 수사 컨설팅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링의 시초는 19세기 롬브로조(C.Lobroso)가 "범죄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일반인과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격세유전에 의해 나타난다." 라는 이야기를 하면서 이는 범죄자를 일반인과 구분한 최초의 프로파일링 시도였으..

안녕하세요 저는 어렸을 때부터 범죄심리에 대해 관심이 많은 대학생입니다. 오늘은 범인을 추적하는 '과학수사( forensic science)와 법과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학수사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엇인가요? 바로 드라마 CSI 이죠? 예 맞습니다. 과학수사의 의미는 과학과 수사를 접목시킨 말로 현대의 과학기술을 통해 수사를 하는 것입니다. 과학수사를 알기위해서는 먼저 법과학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요, 법과학이란 과학적인 관찰과 실험을 통해 수사 또는 재판에 필요한 지식이나 자료를 제공하는 과학기술 이죠. 넓은 의미로서 법적 절차에 적용할수 있는 모든 과학을 이야기 하기에 과학수사를 하기위해서는 법과학을 공부해야 합니다. 정리하자면 이렇습니다. 사회과학- 심리학,사회학 등 자연과..